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그래프탐색
- java
- 내돈내산
- 시급합니다
- OpenAPI프로젝트
- maven
- 최단경로문제
- YBM전화영어
- BFS
- 자바스크립트
- Spring
- 백엔드공부
- 교육철학과 교육사
- Queue
- OAuth
- array
- npm
- 개발자
- 제로베이스
- 백엔드
- webServlet
- 탄력근무
- 자료구조
- 탐색알고리즘
- JavaScript
- 백엔드스쿨
- 프로젝트진행
- 원격근무
- 전화영어
- Node.js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86)
인생자취
자바스크립트의 기초개념 용어 정리 | 이해한대로 적었으나, 틀린 부분은 지적부탁드립니다. 메인 개념들은 비동기성(asynchronous), 스코프(scope), 호이스팅(hoisting), 클로저(closure), 오브젝트(object)다. 비동기성(Asynchronous) 동기식 프로그래밍은 말 그대로 코드들이 한줄씩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메인 스레드에서 call stack에 쌓인 함수들을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이므로 call stack이 완전하게 비어있지 않는 한, 다음 함수가 실행될 수 없다. 이때, 메인 스레드가 아닌 워커 스레드를 통해 비동기식 처리를 진행한다. 비동기식 처리를 위해서는 이벤트 핸들러로 콜백을 요청한다. 그런데 복잡하게 콜백 처리가 이루어지는 경우 콜백지옥에 빠질..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1. Visual Studio Code (VSCode) 설치 https://code.visualstudio.com/ Visual Studio Code - Code Editing. Redefined Visual Studio Code is a code editor redefined and optimized for building and debugging modern web and cloud applications. Visual Studio Code is free and available on your favorite platform - Linux, macOS, and Windows. code.visualstudio.com - 마이크로소프트가 후원하는 소스코드 편집기(에디터). (참고로 VSCode는 IDE가..
현대에 출현한 교육에 대한 철학적 사상들 논리적 문제로 끌어낸 것이 아니라 당면한 시대적 문제를 담고있는 교육에 대해서 생각하는 감각을 키우는 데 필요한 철학적 사상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특히 현대 미국에서 어떻게 교육을 현대화 시킬까, 문명사적인 전환의 시기에 나타난 진보주의 본질주의 항존주의 사상을 통해 살펴볼 것이다. 진보주의(progressivism) : 학생중심으로 주로 학교교육을 염두한 교육사조 교육의 핵심적인 요소로는 교사, 학생, 교재이다. 특히 전통교육은 교사중심적인게 가장 큰 특징으로 옛 지식과 보편가치를 담고있는 교재, 그 교과의 전문가인 교사가 교육 내용을 효율적으로 전해준다. 학생은 그 지식을 받아서 익힌다. 이는 우리에게 익숙한 교육방식이다. 그런데 듀이(J. Dewey, 18..
교육철학의 개념과 교육학적 위상 교육이란 인간형성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 이때 인간형성이란 가르침+배움으로 이루어져있다. 인간형성은 학교, 집, 사회 등의 공간에서 이루어진다. 인간형성은 유아에서 노인에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에서 일어난다. 즉, 삶의 모든 공간, 모든 사회에서 교육현상(교육)이 일어난다. 교육이란 바꿔말하면 인간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이라고도 할 수 있다. '철학의 눈'과 교육철학 철학적으로 본다는 것은 인간 세계의 실상(fact)을 보고 이해하는 것이다. 철학적 이해는 온고이지신과 같이 마중물적인 과거의 자산들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넓고 깊은 철학을 위해서는 역사적 이해가 필요하다. 특히 Who am I? 에 관한 물음은 인류지성사에서 인식에서 감각으로, 인식에서 개념/언어로 사유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