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제로베이스
- 백엔드공부
- BFS
- Queue
- 프로그래머스
- 교육철학과 교육사
- 원격근무
- 전화영어
- maven
- 최단경로문제
- OAuth
- Node.js
- webServlet
- npm
- 탄력근무
- JavaScript
- 내돈내산
- Spring
- 백엔드스쿨
- 탐색알고리즘
- 개발자
- 자바스크립트
- java
- 그래프탐색
- OpenAPI프로젝트
- 시급합니다
- 백엔드
- 자료구조
- 프로젝트진행
- YBM전화영어
- Today
- Total
인생자취
교육철학과 교육사 | 진보주의, 본질주의, 항존주의 본문
현대에 출현한 교육에 대한 철학적 사상들
논리적 문제로 끌어낸 것이 아니라 당면한 시대적 문제를 담고있는 교육에 대해서 생각하는 감각을 키우는 데 필요한 철학적 사상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특히 현대 미국에서 어떻게 교육을 현대화 시킬까, 문명사적인 전환의 시기에 나타난 진보주의 본질주의 항존주의 사상을 통해 살펴볼 것이다.
진보주의(progressivism) : 학생중심으로 주로 학교교육을 염두한 교육사조
교육의 핵심적인 요소로는 교사, 학생, 교재이다. 특히 전통교육은 교사중심적인게 가장 큰 특징으로 옛 지식과 보편가치를 담고있는 교재, 그 교과의 전문가인 교사가 교육 내용을 효율적으로 전해준다. 학생은 그 지식을 받아서 익힌다. 이는 우리에게 익숙한 교육방식이다. 그런데 듀이(J. Dewey, 1859-1952)는 전통교육의 문제점으로 민주주의가 관철되는 새로운 시대에 교육 활동에 참여하는 수동적 대상인 학생 개개인이 죽는다는 것을 언급하였다. 또한 교육의 의미는 이미 구축된 지식을 전달하는 것만이 교육이 아니라, 학생들의 삶이 만들어지는 게 교육이라는 주장을 제시한다. 특히 교육의 개념은 학생들의 경험의 재구성, 성장이며 다른 목적이 있는 게 아니고, 넓게 만들어가는 게 교육이라고 하며 학교는 그것을 만들어가는 공간이라고 제시한다.
진보주의 교육사조에서의 교육 1
진보주의 교육이란 학생이 어떤 삶을 원하고, 어떤 방향으로 향하려고 하는지 각 개개인의 학생들이 어떠한 관심과 흥미가 솟구치는지 학생 개개인이 자기의 삶을 만들어갈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정해진 교과는 있더라고 해도, 학생 개개인이 삶을 만들어가는 데에 융통성있게 만들어가는 것이어야 하는 것이지. 절대화 되어서 만들어가는 게 아니다. 마치 여행 중 절대적으로 지도를 사용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융통성있게 활용할 수 있는것처럼 말이다. Experienced, Impressed로부터 출발해야 삶이 의미있게 형성되고, 교과는 그것을 도와주기 위해 있는 것이다.
진보주의 교육사조에서의 교사의 역할
교과에도 전문성이 있지만, 학생의 전문가여야 한다. 학생의 삶을 잘 아는 학생의 전문가여야 한다. 학생의 삶을 하나하나 살펴 삶, 심리, 경험, 철학적인 것 등 이해를 하면서 교과와 매치시키고 교과와 매개해줄 수 있는 역할을 해야한다.
진보주의 교육사조에서의 교육 2
듀이는 사회에서의 필요한 지식과 학교에서의 필요한 지식, 학생이 필요로하는 사회적 역량과 학교에서의 역량이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학교생활은 사회생활의 축소여야 한다고 하였다. 특히 학교생활을 통해서 민주주의 소양이 길러질 수 있고, 존중받으면서 소통하고 협력하며, 이러한 교육을 통해 민주주의 소양이 자연히 길러져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사회에서 변화되는 것과 학교에서 다뤄지는 것이 밀접한 관련이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진보주의는 실용주의, pragmatism을 철학적 배경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변화하는 삶의 세계를 주목하여 절대적이고 보편적인 진리관과는 다르게 진리를 실험적 지성으로써 당면한 삶의 문제를 푸는 도구로서 삶의 상황에서 인간의 실용적인 목적에 의해서 가변적일 수 있다고 하였다. 이런 진리관은 삶의 도구적 역할을 하기 때문에 도구주의(instrumentalism)라고도 한다.
교육은 절대적인 진리를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에게 삶의 과제를 해결하는 길을 인식할 수 있는 힘을 키워주는 것이어야 한다. 다시말해 학생의 원하는 바를 체험하고 성장할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것을 교육이라고 하였다. 학생의 현재의 가치, 지금의 삶에 주목하고 현재 꿈은 무엇인지, 어떤 경험을 하고 싶은지를 찾아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진보주의 교육사조의 한계
진보주의 교육은 학생중심 교육이다. '아동중심 교육'이라고 극단적으로 생각하면, 학생을 잘 받들어주고 띄워주는 역할만 하는 것처럼, 잘 놀게 해주고, 의욕을 북돋아 주면 되는 것에만 그치기 때문에 수학, 과학을 경험하는 것 없이 재미에 그치는 교육이라는 주장이 나오게 된다. 즉 밝기는 한데 쌓여가는 것이 없는 문제가 나오게 된 것이다.
본질주의(essentialism) : 개별적 인간의 경험보다 '사회적 전통'으로서의 '인류 경험'을 중시하는 교육사조
진보주의가 전통교육에 대한 반기를 들었다면, 본질주의는 진보주의의 결과를 시험하면서 전통교육에 대한 변혹에 대한 성격으로 나왔다. 배글리(W. C. Bagley, 1874-1946)는 듀이, 킬패트릭과 같이 콜럼비아 사범대학에서 오랜기간 근무하면서 사상을 교감하고 논쟁하며 본질주의적 교육관을 전개하였다.
본질주의 교육사조에서의 교육
인류 역사에 교육에서는 교육에서 다뤄야 할 본질적인 지식이 있다. 후세에게 가르쳐야할 지식/가치체계가 있다. 이것을 교과의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고, 개별성 보다도 공통적으로 익혀야 할 것을 익히는 것이 교육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다. 진보주의 교육사조와는 다르게 교육의 주도권을 교사로 두었다. 교사를 통해 교육에 있어서는 어느정도의 고통이 따르고, 개별적으로 교육하는 관점을 넘어서 공통적으로 획득해야 할 것을 중요시 하였다. 배글리는 흥미라는 것도 훈련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본질적인 지식유산을 담은 객관적 교과로서 읽기, 쓰기, 셈하기의 기본 문해 능력을 비롯해서 전통 교육에서 중시된 교과(역사, 과학, 수학, 문학, 언어, 예술 등)를 중요시 하였다.
본질주의 교육사조에서의 교사
사회의 합의를 거친 보편적인 교과 체계와 그 교과의 전문가인 교사를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진다.
본질주의 교육사조의 한계
사회 변화에 대해서 보수적 태도를 취하며 본질이라는 이름으로 전통을 지킨다. 또한 진보주의에서 흔히 보이는 민주주의적 개혁 관념이나, 자율성, 비판적 사고, 진보성, 협동정신 등을 고려하지 못하여 취약함을 보였다.
항존주의(perennialism) : 영구적인 의미를 지닌 위대한 지혜(great ideas) 및 불변의 진리(unchanging principles)
항존주의자 허친스(R. M. Hutchins, 1899-1977), 애들러(M. J. Adler, 1902-2001)는 교육의 핵심은 이성이라고 주장하였다. 허친스는 인간으로서의 기능은 인간 본성의 핵심 기능인 이성에서 나오는 것이기 때문에 교육 체제의 목적은 모든 연령, 모든 사회에서 동일해야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교육체계의 목적은 인간으로서의 인간을 발전시키는데 두어야 한다고 하였다. 애들러는 인간이 이성적 동물이라고 한다면, 인간성에 있어서도 영속성이 있다면 모든 교육 계획은 문화나 시대에 관계 없이 동일해야 하고 영속성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항존주의 교육사조에서의 교육
이성 혹은 지성을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에 대하여 전통적인 7자유 교과의 전통 속에서 현대 교과체제를 만드는 것을 중시하였다. 순수이성 비판(칸트), 고전으로 남은 자산들이 역사속에서 남았다는 것은 그만한 이유가 있는 것을 강조하며 위대한 고전들(great books)을 통해서 이성 계발이라는 전통의 교육과업을 이루고자 하였다.
항존주의 교육사조에서의 교사
엘리트주의적이고 주지주의적(intellectualism)인 편향성을 지닌 교육 내용을 전달하는 주체
항존주의 교육사조와 동양교육사와의 유사점
동양교육사에서도 보편적 진리에 도달하는 것이 인간의 삶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하는 측면에서 동양의 유불도의 교육적 관점과 통하는 바가 있다. '지속적이고 영구적인 의미를 지닌 위대한 지혜', '영원하고 보편적인 진리'의 측면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사서오경, 불경 같은 고전 읽기를 핵심 방법으로 활용한 유교 및 불교 일각의 교육방식과 통하는 바가 크다.
항존주의 교육사조의 한계
전통과 고전의 원리를 강조하는 보수적인 성향과 역동하는 현실에 적응하려는 교육적 노력을 과소하는 경향에 대해 비판을 받았다.
출처 : 자체 필기 및 2018년도 2학기 교대원 교직과정 <교육철학 및 교육사> 강의자료집
'일상 > TIL | 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철학과 교육사 | 기초개념과 문제의식 (0) | 2022.03.29 |
---|